본문 바로가기
정보공유

비행기에서도 카톡·웹서핑 가능! 기내 와이파이 사용법과 요금 비교

by huub 2025. 2. 18.

2025년 1월부터 대한항공과 진에어 그리고 아시아나에서 기내 인터넷 서비스가 도입되었습니다. 이제 비행 중에도 인터넷을 통해 업무를 보거나 가족, 친구와 소통할 수 있게 되었는데요. 이번 포스팅에서는 이러한 서비스가 도입된 배경과 사용 방법, 그리고 요금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국내 항공사들이 기내 인터넷 서비스를 도입하게 된 주요 배경은 승객들의 편의 증대와 글로벌 항공업계의 추세에 발맞추기 위함입니다. 이미 많은 해외 항공사들이 기내 와이파이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으며, 일부는 무료로 제공하기도 합니다. 대한항공과 진에어는 이러한 흐름에 맞춰 승객들에게 더 나은 서비스를 제공하고자 기내 인터넷 서비스를 도입하게 되었습니다.


1️⃣대한항공의 기내 와이파이 서비스

📌서비스 개시 및 대상 기종

대한항공은 2025년 1월부터 보잉 B737-8 기종을 시작으로 국제선 단거리 노선에서 기내 와이파이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초기에는 김포오사카, 인천후쿠오카, 인천~오사카 등의 노선에서 서비스를 시작하였으며, 이후 에어버스 A321neo와 보잉 B787 등 다양한 기종과 국제선 전 노선으로 서비스를 확대할 계획입니다.

📌이용 요금 및 요금제

대한항공은 승객들의 다양한 필요에 맞춰 여러 가지 요금제를 마련하였습니다. 요금제는 '메시징'과 '인터넷'으로 구분되며, 운항 거리와 서비스 이용 시간에 따라 세분화되어 있습니다.

  • 메시징 요금제: 카카오톡, 라인 등 텍스트 메시지 서비스만 이용할 경우
    • 단거리 및 중거리 노선: 4.95달러 (약 6,546원)
    • 장거리 노선: 5.95달러 (약 7,866원)
    • 이용 시간: 시간 제한 없음
  • 인터넷 요금제: 웹 서핑, 동영상 및 음악 스트리밍 등 전체 인터넷 사용
    • 2시간 이용 (중거리 및 장거리 노선): 10.95달러 (약 14,467원)
    • 무제한 이용:
      • 단거리 노선: 11.95달러 (약 15,784원)
      • 중거리 노선: 13.95달러 (약 18,425원)
      • 장거리 노선: 20.95달러 (약 27,671원)

📌이용 방법

  1. 탑승 후: 좌석에 앉아 개인 전자기기를 비행기 모드로 전환합니다.
  2. 와이파이 연결: 기내에서 제공되는 와이파이 네트워크를 선택합니다.
  3. 구매 페이지 접속: 자동으로 열리는 구매 전용 사이트에서 원하는 요금제를 선택합니다.
  4. 결제: 신용카드 등으로 결제를 완료하면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참고: 이착륙 시에는 와이파이 사용이 제한됩니다.


2️⃣진에어의 기내 인터넷 서비스

진에어는 대한항공의 자회사로서, 2025년 1월부터 일부 국제선 노선을 중심으로 기내 인터넷 서비스를 도입하였습니다. 서비스 대상 기종과 노선은 점진적으로 확대될 예정이며, 이용 요금과 방법은 대한항공과 유사한 형태로 제공됩니다.


3️⃣아시아나항공의 기내 와이파이 서비스

📌서비스 개시 및 대상 기종

아시아나항공은 에어버스 A350 기종을 중심으로 기내 와이파이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이 기종은 주로 중장거리 노선에 투입되어, 장시간 비행 중에도 승객들이 인터넷을 이용할 수 있도록 지원합니다.

📌이용 요금 및 요금제

아시아나항공은 이용 시간에 따라 다양한 요금제를 제공합니다.

  • 1시간 이용: 11.95달러
  • 3시간 이용: 16.95달러
  • 비행 중 무제한 이용: 21.95달러

📌이용 방법

  1. 탑승 후: 좌석에 앉아 개인 전자기기를 비행기 모드로 전환합니다.
  2. 와이파이 연결: 기내에서 'OZ Wi-Fi' 네트워크를 선택합니다.
  3. 포털 사이트 접속: 웹 브라우저를 열면 자동으로 아시아나 포털 사이트로 연결됩니다.
  4. 로그인 및 결제: 'go online' 버튼을 클릭한 후 계정으로 로그인하거나 신규 가입하여 원하는 요금제를 선택하고 결제합니다.

참고: 결제 완료 시점부터 사용 시간이 적용되며, 사용 여부와 관계없이 시간 경과 후 서비스가 종료됩니다. 또한, 위성 서비스의 특성상 기상 상황 등에 따라 연결이 원활하지 않을 수 있습니다.


결론

대한항공, 진에어, 아시아나항공의 기내 인터넷 서비스 도입으로 이제 비행 중에도 인터넷을 자유롭게 이용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이는 승객들의 편의성을 높이고, 글로벌 항공업계의 흐름에 발맞춘 긍정적인 변화로 평가됩니다. 앞으로 더 많은 노선과 기종에서 이러한 서비스를 경험할 수 있기를 기대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