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파트를 구매하거나 임대할 때 가장 중요한 요소 중 하나가 바로 면적입니다. 하지만 아파트 광고에서 표기되는 면적을 보면 "전용면적", "공급면적" 등의 용어가 혼동될 수 있는데요. 이번 포스팅에서는 전용면적과 공급면적의 차이와 대한민국에서 주로 건설되는 아파트 면적 비교표를 정리해보겠습니다.
✅ 전용면적과 공급면적의 차이
🔹 전용면적(전용평수)란?
실제로 거주자가 사용하는 공간을 의미합니다.
- 방, 거실, 주방, 화장실 등 실내에서 실제 사용하는 면적
- 복도, 계단, 엘리베이터 같은 공용공간은 제외
- 실거주 공간을 확인할 때 가장 중요한 기준
📌 예시:
- 전용면적이 25평인 아파트라면, 내가 실제로 사용할 수 있는 공간이 25평입니다.
🔹 공급면적(공급평수)란?
전용면적 + 공용면적(공동 사용 공간 포함한 면적)
- 전용면적에 복도, 계단, 벽 등 공동 사용 공간의 면적이 추가됨
- 아파트 분양 광고에서 흔히 공급면적을 기준으로 표기
- 같은 평수라도 공급면적이 넓을수록 공용공간이 많은 구조
📌 예시:
- 전용면적이 25평이어도, 공급면적이 30평이라면 5평은 공용공간에 해당됩니다.
🔹 전용면적 vs. 공급면적 비교
구분 | 의미 | 포함되는 공간 | 실 거주 공간 반영 |
---|---|---|---|
전용면적 | 내가 실제로 사용하는 공간 | 방, 거실, 주방, 화장실 등 | ✅ O (실제 사용 가능) |
공급면적 | 전용면적 + 공용면적 포함 | 전용면적 + 복도, 계단, 벽 등 | ❌ X (공용공간 포함) |
🔹 아파트 계약 시 주의할 점
- 전용면적을 반드시 확인해야 함
- 공급면적만 보고 계약하면 실제 사용 공간이 좁을 수 있습니다.
- 공용공간 비율이 높은 아파트는 실거주 공간이 적을 수 있음
- 특히 오피스텔은 공용면적 비율이 높은 편입니다.
✅ 대한민국 아파트 전용·공급면적 비교표
아래 표는 대한민국에서 주로 건설되는 아파트의 전용면적과 공급면적을 정리한 것입니다.
전용면적(㎡) | 전용면적(평) | 공급면적(㎡) | 공급면적(평) |
---|---|---|---|
39㎡ | 약 12평 | 약 50㎡ | 약 15평 |
46㎡ | 약 14평 | 약 59㎡ | 약 18평 |
59㎡ | 약 18평 | 약 76㎡ | 약 23평 |
72㎡ | 약 22평 | 약 94㎡ | 약 28평 |
84㎡ | 약 25평 | 약 109㎡ | 약 33평 |
99㎡ | 약 30평 | 약 128㎡ | 약 38평 |
✅ 추가 설명
🔹 10평대 아파트 → 소형 평수로, 신혼부부나 1~2인 가구에 적합
🔹 20평대 아파트 → 3~4인 가구가 주로 선호하는 평형 (대한민국에서 가장 인기 많음)
🔹 30평대 아파트 → 4인 이상 가족이 거주하기에 넉넉한 공간 제공
특히 전용 59㎡(18평)과 전용 84㎡(25평)은 대한민국에서 가장 많이 건설되는 대표적인 평형입니다.
✅ 결론
- 전용면적 = 실제로 거주하는 공간
- 공급면적 = 전용면적 + 공용공간 포함된 면적
- 아파트를 선택할 때는 공급면적보다 전용면적을 확인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 아파트를 구입하거나 전·월세 계약할 때 공급면적이 아닌 전용면적을 기준으로 판단하는 것이 실속 있는 선택이 될 수 있습니다! 😊
'정보공유'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임대차계약갱신청구권 완벽 정리! 의미, 조건, 최근 사례까지 (0) | 2025.02.15 |
---|---|
초보 골퍼 필독! 필드에서 꼭 알아야 할 골프 용어 대백과 (4) | 2025.02.14 |
이것만 알면 건강 걱정 끝! 4대 성인병 증상과 원인 분석 (2) | 2025.02.14 |
발렌타인데이, 어떻게 시작됐을까? 사랑의 날 기원과 선물 추천 (4) | 2025.02.13 |
자발적 퇴사도 실업급여 받을 수 있다? 2025년 실업급여 자격 요건부터 구직활동까지 쉽게 정리! (3) | 2025.02.13 |